분류 전체보기 118

NAT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의 사용이 늘면서 할당 가능한 IPv4 주소의 개수가 부족해지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NAT가 생겼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는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로 변경해주는 주소 변환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경우 집에 하나의 인터넷 공유기를 설치해 여러 PC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는 NAT를 통해 각기 다른 사설 IP를 하나의 공인 IP로 맵핑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보통 Router에 NAT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할당 방식에 따른 NAT의 종류 1) Static NAT (1 to 1 NAT)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가 1:1로 매칭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NAT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상이하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2)..

Network 2022.10.04

Google Cloud Load Balancing (GCLB) 에 대해 알아보자

Load Balancer는 증가하는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서버에 배분해 처리하기 때문에 아주 중요한 기술이다. Load Balancer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다음 포스팅을 참고하자. https://showlgu-ml.tistory.com/124 Load Balancer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의 발달로 증가한 폭발적인 트래픽량을 서버 하나로 감당하기 힘들어지자 기업들은 서버를 추가로 구매하고 트래픽을 분산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1) Scale-up: 서버 showlgu-ml.tistory.com Google Clould Platform 역시 Load Balancer를 설정해 줄 수 있는데 각자의 상황에 맞게 선택해야 한다. 1) Global or Regional Load Balanc..

Load Balancer에 대해 알아보자

인터넷의 발달로 증가한 폭발적인 트래픽량을 서버 하나로 감당하기 힘들어지자 기업들은 서버를 추가로 구매하고 트래픽을 분산하게 되었다. 이를 위한 방법은 2가지가 있는데 1) Scale-up: 서버 자체의 성능을 업그레이드 하는 것 2) Scale-out: 기존 서버와 동일하거나 낮은 성능의 서버를 두 대 이상 증설하여 운영하는 것 Load Balancing은 Scale-out 방식에서 필요한 기술로, 트래픽을 여러 대의 서버로 균등하게 분산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Load Balancing 기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서버의 상황에 맞춰 적절한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1) Round Robin Method 서버에 들어온 요청을 순서대로 돌아가며 배정하는 방식 서버와의 연결이 오래 지속되지 않는 경우에 활용하..

Network 2022.10.03

ICMP에 대해 알아보자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은 인터넷 제어 메세지 프로토콜로 TCP/IP 계층에서 Network 계층에 속한다. IPv4 주소 체계는 Error Reporting + Error Correcting 메커니즘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ICMP가 필요해졌다. ICMP의 주된 목적 - Error-Reporting Message: 전송 중 발생한 오류에 대한 메세지 생성하여 응답 - Query Message: 네트워크의 상태를 진단하기 위한 쿼리 요청 및 응답 메세지 생성 ICMP 메세지 - ICMP 메세지는 IP Packet 안에서 encapsulated 된다. - 메세지의 유형을 의미하는 Type + 유형별 세부 내용을 담고있는 Code 파트로 구분된다. - ICMP..

Network 2022.10.02

DHCP에 대해 알아보자

컴퓨터가 처음 네트워크를 사용하고자 할 때는 할당받은 IP Address가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 컴퓨터는 IP를 누구로부터 할당받을 수 있을까? 바로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가 네트워크에 연결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에 IP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한다. 보통 가정용 네트워크에서는 라우터가 DHCP 서버 역할을 담당한다. DHCP 서버는 자동으로 IP를 분배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했을시 발생할 수 있는 IP 주소 중복 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Client 디바이스가 DHCP 서버에 IP를 요청하는 과정을 알아보자. 1) 디바이스는 아직 IP Address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나 여기있어~! 나 좀 알아봐줘~!' 라며 broadcast를 보낸다. 2) ..

Network 2022.09.29

Subnetting, Subnet Mask에 대해 알아보자

subne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먼저 IPv4 주소에 대해 알아보자 - IPv4는 32Bits 길이의 주소 체계 - 실제 IP Address는 2진수로 표기되나 사람이 이해하기 어려워 10진수로 나타내는 표기법을 사용한다. - 8 bits 가 전부 1이라고 가정하였을 때 255라는 숫자가 나오므로, IP Address는 하나의 octet 당 0~255까지의 숫자 범위를 가진다. - 네트워크의 주소를 표현하기 위한 network bits + 디바이스들을 표현하기 위한 host bits로 구분된다. -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를 구분하기 위해 5가지의 클래스로 나뉘는데 대표적으로 밑의 그림과 같은 A,B,C 클래스를 쓴다. -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이렇게 IP의 클래스를 나눈 것도 ..

Network 2022.09.28

OSI Reference Model에 대해 알아보자

서로 다른 규격의 컴퓨터끼리 데이터를 통신하는 것에 문제가 발생했다. 예를 들어 Window OS 와 Linux OS 사이의 통신에 문제가 발생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ISO(국제 표준화 기구)는 데이터 통신 전체를 표준화하기 위해서 7단계로 나누어 설계도를 만들었다. 이 모델은 표준화 되지 못했지만 여전히 유용하게 쓰이고 있다. 네트워크에 의한 데이터 통신은 단계마다의 복수의 프로토콜로 실현된다. 7개의 독립된 레이어는 서로 영향을 끼치지 않고 덧붙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렇게 데이터 +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필요한 프로토콜이 통합된 상태를 Protocol Data Unit 이라고 부른다. 각 레이어에서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와 프로토콜을 덧붙이는 과정을 Capsulation, 수신 측에서 이 ..

Network 2022.09.26

MAC Address에 대해 알아보자

MAC Address(Media Access Control) == Pysical Address == Hardware Address 단 하나의 고유한 주소를 부여해서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일종의 하드웨어 주소이다. IP Address는 다른 호스트와 통신하기 위해 Router가 사용하고, MAC Address는 Switch가 사용하는 주소이다. 비유하자면 IP Address는 사람의 위치, MAC Address는 사람의 이름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OSI 7 Layers에서 설계된 대로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IP Address 와 MAC Address 모두 필요하다. IP Address는 Network layer에서, MAC Address는 Data Link layer에서 사용된다. 처음에는 목적지..

Network 2022.09.26

IPv4 vs IPv6 에 대해 알아보자

-IP 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인터넷에 연결된 각 장치에는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주소가 필요한데, 이를 위해 IPv4가 등장했다. -IPv4 이 인터넷 프로토콜은 43억 개의 고유한 IP 주소를 가질 수 있는 32비트 숫자 주소이다. IPv4 주소는 클래스로 분류되는데, 클래스A는 소수의 대형 네트워크를 위한 것이고 클래스 C는 수천 개의 소형 네트워크를 위한 것, 그리고 클래스 B는 그 사이에 있는 것이다. IPv4 주소는 0

Network 2022.09.23

TCP vs UDP Protocol에 대해 알아보자

TCP / UDP는 전송 계층에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 TC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1대 1로 통신하는 연결형 서비스를 지원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환경에서 기본으로 사용한다. Sender 가 보낸 데이터를 Reciver가 받았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연속성 보다는 신뢰성이 중요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패킷에 대한 응답을 해야하기 때문에 시간이 지연되고 성능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에 따라 스트리밍 서비스에는 불리하다. 데이터는 패킷(여러 개로 나눈 데이터의 조각) 단위로 나누어 같은 목적지로 전송되고, 각각의 패킷에 번호를 부여하여 패킷의 분실을 확인하고 목적지에서 재조립을 수행한다. - 이에 반해, UDP는 비연결형 프로토콜이다. 각각의 패킷이 다른 경로로 전송..

Network 2022.09.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