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NAT에 대해 알아보자

숄구-ml 2022. 10. 4. 12:48

 

 

 

 

 

인터넷의 사용이 늘면서 할당 가능한 IPv4 주소의 개수가 부족해지자 이를 보완하기 위해 NAT가 생겼다.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는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로 변경해주는 주소 변환 서비스이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경우 집에 하나의 인터넷 공유기를 설치해 여러 PC에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는 NAT를 통해 각기 다른 사설 IP를 하나의 공인 IP로 맵핑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보통 Router에 NAT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

출처: https://wiki.teltonika-networks.com/view/Network_Address_Translation

 

 

 

 

 

 

할당 방식에 따른 NAT의 종류

 

1) Static NAT (1 to 1 NAT)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가 1:1로 매칭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 방법은 NAT를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과 상이하기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는다. 

 

2) Dynamic NAT (N to N NAT)

정해진 수의 공인 IP를 네트워크 내부의 여러 호스트가 돌아가면서 사용하는 방식이다. 밑의 그림에서 보면 호스트 A,B,C가 할당된 3개의 공인 IP를 이용하여 외부에 접속중이다. 만약 호스트 D가 외부에 접속하고자 한다면 공인 IP가 이미 모두 소진되었으므로 이용할 수 없다. 호스트 A의 접속이 끝나고 해당 공인 IP가 returned 되면 그때서야 호스트 D가 할당 받을 수 있다.

출처: https://www.practicalnetworking.net/series/nat/dynamic-nat/

 

3) PAT (Port Address Translation or Network Address Port Translation,  1 to N NAT)

공인 IP 주소 1개에 사설 IP 주소 여러 개가 매칭되는 방식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LAN 내 각 호스트에 임의의 Port 번호를 지정하여 사설 IP + Port Number를 공인 IP + Port Number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NAT 방식이고 선택할 수 있는 포트의 개수는 대략 60,000개이다. 서로 다른 호스트가 같은 Port Number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출처: https://www.practicalnetworking.net/series/nat/dynamic-pat/

 

 

 

 

 

 

 

 

 

 

 

참고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a6S_L_c-lNk&t=148s 

참고 자료) https://www.practicalnetworking.net/series/nat/dynamic-pat/

 

Dynamic PAT – NAT Series – Practical Networking .net

Dynamic PAT is the most common type of address translation. It is used anytime multiple hosts with Private IP addresses are sharing a single Public IP address.

www.practicalnetworking.net

https://www.stevenjlee.net/2020/07/11/%EC%9D%B4%ED%95%B4%ED%95%98%EA%B8%B0-nat-network-address-translation-%EB%84%A4%ED%8A%B8%EC%9B%8C%ED%81%AC-%EC%A3%BC%EC%86%8C-%EB%B3%80%ED%99%98/

 

[이해하기]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네트워크 주소 변환 | STEVEN J. LEE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 네트워크 주소 변환) 이란, IP 패킷에 있는 출발지 및 목적지의 IP 주소와 TCP/UDP 포트 숫자 등을 바꿔 재기록하면서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 받는 기술입니다.

www.stevenjlee.net

 

728x90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 TLS, HTTPS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10.24
Proxy, Reverse Proxy, VPN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10.12
Load Balancer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10.03
ICMP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10.02
DHCP에 대해 알아보자  (0) 2022.09.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