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Google Cloud Platform

Cloud DNS에 대해 알아보자

숄구-ml 2022. 12. 5. 14:33

 

 

DNS

먼저 DNS에 대해 알아보자.

 

친구 A와 B가 있다. 친구 A는 영국에 살고, 친구 B는 영국에 놀러가고 싶어한다.

B: '영국에서 가장 좋아하는 장소가 어디야?'

A: '51° 30' 19.9944'' N and 0° 4' 31.0008'' W 가 가장 좋아하는 장소야'

B: '엥? 아니 좋아하는 장소 이름이 뭐야?'

A: ''51° 30' 19.9944'' N and 0° 4' 31.0008 라니깐?!'

B: "....."

 

사람은 숫자보다 이름으로 기억하는 것이 더 편하다. 우리가 특정 웹사이트에 접속하려 할 때 도메인 이름이 아닌 IP 주소를 외워야 한다면 너무나 힘든 일이 될 것이다. 따라서 사람 대신에 IP 주소를 찾아주는 DNS(Domain Name Server)가 필요하다. DNS는 우리가 웹 브라우저에 입력하는 주소 (ex) www.naver.com)를 IP 주소로 변환해 준다. 

 

● Authoritative DNS Server

도메인 네임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으면서, 해당 도메인 네임의 IP 주소를 갖고있는 서버

● Non-Authoritative DNS Server

반면에 두개 중에 하나만 알고있는 서버

● Resolver

DNS 서버에게 IP 주소를 알고있느냐고 물어보는 역할을 하는 것이 리졸버

 

[ DNS 서버 동작 과정 ]

출처: https://aws.amazon.com/ko/route53/what-is-dns/
출처: https://hwan-shell.tistory.com/320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열어 주소 표시줄에 www.example.com을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2.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은 일반적으로 케이블 인터넷 공급업체, DSL 광대역 공급업체 또는 기업 네트워크 같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ISP)가 관리하는 DNS 해석기로 라우팅됩니다.
  3. ISP의 DNS 해석기는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DNS 루트 이름 서버에 전달합니다.
  4. ISP의 DNS 해석기는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이번에는 .com 도메인의 TLD 이름 서버 중 하나에 다시 전달합니다. .com 도메인의 이름 서버는 example.com 도메인과 연관된 4개의 Amazon Route 53 이름 서버의 이름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합니다.
  5. ISP의 DNS 해석기는 Amazon Route 53 이름 서버 하나를 선택해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해당 이름 서버에 전달합니다.
  6. Amazon Route 53 이름 서버는 example.com 호스팅 영역에서 www.example.com 레코드를 찾아 웹 서버의 IP 주소 192.0.2.44 등 연관된 값을 받고 이 IP 주소를 DNS 해석기로 반환합니다.
  7. ISP의 DNS 해석기가 마침내 사용자에게 필요한 IP 주소를 확보하게 됩니다. 해석기는 이 값을 웹 브라우저로 반환합니다. 또한, DNS 해석기는 다음에 누군가가 example.com을 탐색할 때 좀 더 빠르게 응답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지정하는 일정 기간 example.com의 IP 주소를 캐싱(저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Time to Live(TTL)를 참조하세요.
  8. 웹 브라우저는 DNS 해석기로부터 얻은 IP 주소로 www.example.com에 대한 요청을 전송합니다. 여기가 콘텐츠가 있는 곳으로, 예를 들어 웹 사이트 엔드포인트로 구성된 Amazon S3 버킷 또는 Amazon EC2 인스턴스에서 실행되는 웹 서버입니다.
  9. 192.0.2.44에 있는 웹 서버 또는 그 밖의 리소스는 www.example.com의 웹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로 반환하고, 웹 브라우저는 이 페이지를 표시합니다.

 

 

 

 

 

Cloud DNS 

Google의 전 세계 네트워크에서 제공하는 안정적이고 복원력이 우수하며 지연 시간이 짧은 DNS 서비스로서 도메인 등록, 관리, 제공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갖추고 있다. 사용자가 구글의 Anycast 네임서버를 통해 전 세계 어디에서나 안정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DNS는 IP 주소 및 기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름별로 조회할 수 있는 계층형 분산 데이터 베이스다. Cloud DNS를 사용하면 자체 DNS 서버와 소프트웨어 관리 부담 없이 DNS에 영역 및 레코드를 게시할 수 있다. 

 

[ 주요 특징 ]

1. Authoritative DNS lookup

www.google.com과  같은 도메인 이름 요청을 74.125.29.101과 같은 IP 주소로 변환한다

2. Cloud IAM

Cloud Domains 와 Cloud IAM의 통합으로 안전한 도메인 관리가 가능하다

3. Cloud Logging

비공개 DNS는 VM에서 수신된 모든 DNS 쿼리와 네트워크 내의 인바운드 전달 흐름을 기록한다. DNS 로그는 Cloud Logging에서 볼 수 있고 Cloud Logging 내보내기가 지원되는 모든 대상으로 로그를 보낼 수 있다.

4. DNS peering

DNS 피어링으로도 DNS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DNS 네임스페이스의 전부 또는 일부를 네트워크 간에 전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수신한 네트워크에서는 피어링된 네트워크에 정의된 모든 DNS 구성을 따른다. 

5. DNS forwarding

Hybrid Cloud Architecture를 사용하는 경우 DNS forwarding을 사용하면 On-premise와 DNS 환경을 연결할 수 있다. DNS forwarding을 활용하여 기존 DNS 서버를 Authoritative DNS 서버로 사용할 수 있다. 

6. DNS registration and management

Cloud Domains는 Google Cloud에서 고객의 도메인 등록 및 관리를 지원하며 Cloud DNS와의 긴밀한 통합을 제공한다

7. DNS security (DNSSEC)

8. Fast anycast name servers

Cloud DNS는 google의 글로벌 Anycast 네임서버 네트워크를 통해 DNS 영역을 전 세계의 중복 위치에서 지원하므로 사용자에게 높은 가용성과 짧은 지연시간을 제공한다

9. Private Zones

비공개 DNS 영역은 비공개 Google Cloud 네트워크에 관리가 간편한 내부 DNS 솔루션을 제공하므로 추가 소프트웨어와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필요가 없다. 

10. Zone and project management

프로젝트에 관리형 영역을 생성한 후 DNS 레코드를 추가, 수정, 삭제할 수 있다. 프로젝트 수준에서 권한을 관리하고 변경사항이 DNS 네임서버로 전파되는 과정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11. Container-native Cloud DNS

Cloud DNS 와 GKE의 통합으로 Cloud DNS를 통한 클러스터 내 서비스 DNS 변환을 제공하여 모든 GKE 노드에 처리량과 확장성이 뛰어난 DNS 변환을 지원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