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인프라
서비스형 인프라는 비즈니스 운영에 필요한 컴퓨팅 (Compute, GPU,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스토리지 (Object, Block, File), 네트워킹(small & large pipe) 리소스를 제공한다.
Iaas 모델 공급업체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필요한 모든 인프라를 제공하고 호스팅 한다.
사용자는 인프라 서비스를 사용하는데 Billing Method에 따라 가격을 지불하고, 따로 계약을 맺는 등의 필요가 없어 편리하게 원하는 인프라를 사용할 수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XRdmfo4M_YA
2. Platform as a Service 서비스형 플랫폼
Paas 모델의 공급업체는 Iaas와 마찬가지로 모든 물리적 & 가상 인프라를 제공하고 호스팅 한다. 여기에 추가로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개발 툴,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및 분석 툴을 제공하고 관리한다.
따라서 Paas 를 이용하는 고객은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 서비스를 관리하는 일만 수행하면 된다.
밑의 강의에서는 Iaas, Paas, Saas를 자동차를 빌리는 것에 비유하고 있는데,
Iaas = 리스 (성능, 색깔, 브랜드 등등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Paas = 렌트 (여행 때 잠시 빌리거나 하는 정도라서 잘 움직이기만 하면 그만이다)
Saas = 택시 (관리하고 신경써야 할 것이 아무 것도 없다)
https://www.youtube.com/watch?v=QAbqJzd0PEE
3. Software as a Service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Iaas, Paas와 동일하게 공급업체가 모든 물리적 및 가상 인프라, 미들웨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개발 툴 등을 제공하고 호스팅한다. Saas는 추가적으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Saas는 앱 또는 웹 포털을 통해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사진,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저장하는데 사용하는 iCloud, Google Drive 등이 바로 Saas의 대표적 예시이다. 또한 넷플릭스와 같은 OTT 서비스도 Saas의 사례이다. 이는 콘텐츠를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구독의 방식으로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해 인터넷 상의 수많은 콘텐츠를 원하는 만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Saas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게 보여지고 업데이트가 발생할 때 컨트롤 할 수 없고 전체 스택은 제 3자가 관리하게 된다.
4. Function as a Service 서비스형 기능
FaaS는 사용자가 기본 컴퓨팅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개발, 실행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리스 유형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이다. 서버를 관리할 필요 없이 필요한만큼만 지불함으로써 비즈니스와 애플리케이션 자체에 시간과 리소스를 집중할 수 있다. 또한, 런타임 서비스로 제공되고 데이터를 저장하지 않는다.
[ PaaS 와 차이점 ]
PaaS 는 어떠한 서버에 전체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여 24시간 동안 돌아가게 하고,
FaaS 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함수를 배포하여, 계속 실행되고 있는 것이 아니라 특정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실행 되었다가 작업을 마치면 종료된다.
'DevOps > Google Cloud 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Google Cloud Load Balancing (GCLB) 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10.03 |
---|---|
IaC (Infrastructure as Code)란? 그리고 Terraform (0) | 2022.09.22 |
API & SDK (0) | 2022.09.21 |
SQL vs NOSQL (0) | 2022.09.21 |
Object Storage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9.21 |